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의 4계층 (TCP/IP 4계층)
계층 | 프로토콜 종류 |
애플리케이션 | HTTP, FTP |
전송 | TCP, UDP |
인터넷 | IP |
네트워크 인터페이스 |
LAN 드라이버, LAN 장비 |
송신시 동작 순서
각 Layer에서 저장되는 정보
3-way-handshake
- 데이터 전송전 연결을 확인한다.
- 접속요청 : SYN ->
- <- ACK+SYN : 요청 수락 + 접속요청
- 요청수락 : ACK ->
- 데이터 전송 (참고 : 3.ACK와 함께 데이터 전송 가능)
TCP와 UDP 차이
TCP | UDP | |
연결지향 | 연결지향 - 3 way handshake (가상 연결) | x, 기능이 거의 없음 |
데이터 전달 보증 | 데이터 전달 보증 | x |
순서 보장 (packet 1, 2, 3 -> 1, 2, 3) | 순서 보장 | x |
신뢰성 | 신뢰할 수 있다 | x |
속도 | 느림 | 빠름 |
결론 | 현재는 대부분 TCP 사용 | IP와 거의 같다. + port + 체크섬 정도만 추가 애플리케이션에서 추가작업 필요. |
PORT
- 같은 IP 내 프로세스 구분 ( 서버에 두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띄워져 있고 두개의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하고자 한다면 Port를 이용해 구분하여 붙을 수 있다 )
- 따라서 TCP 세그먼트에 출발지, 목적지 PORT 추가.
DNS
- Domain Name System
- IP 기억하기 어려우니 사용
<참고>
해당 포스팅은 인프런의 김영한님이 강의하신 HTTP 강의 를 수강하고, 이해를 정리한 기록들이며 모든 자료의 출처는 강의의 강의자료이다.
'HTT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TP 상태코드 (0) | 2022.03.13 |
---|---|
HTTP 메서드 활용 (0) | 2022.03.06 |
HTTP 메서드 (0) | 2022.03.05 |
HTTP 기본 (0) | 2022.03.01 |
URI와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(0) | 2022.02.24 |